티스토리 뷰

 

오늘은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안내를 해보도록 할게요. 이번에 준비해본 내용은 바로 공시지가입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매년초가 되면 궁금해서 조회를 해보게 되어지실거에요. 그래서 안내를 해드려보도록 할건데요. 어렵지 않게 조회가 가능하답니다.

 

 

 

 

여러분들도 지금 바로 한번 국토해양부 공시지가를 확인해보시면 좋을듯한데요. 정부에서 서비스하고있는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아주 간단하고 쉽게 확인이 가능해요. 자그럼 안내를 시작을 해보도록 할게요. 여러분들도 지금 바로 한번 확인해보세요.

 

 

 

먼저 이렇게 공식 공시지가에 대한 개요부터한번 살펴보도록 할게요.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넌 공시하는 표준공시지가를바탕으로 각 지자체의 시장,군수,구청장이 개별토지에 대해서 적정한 가격을 산정하는것인데요. 이렇게 나온 개별공시지가를 바탕으로 관세 및 지방세 부과기준으로 삼아요.

 

 

 

그리고 공시지가의 기준일이 다른데요. 일반적인 국세 또는 지방세 부과대상의 토지의 경우는 공시지가 기준일이 1월1일입니다. 하지만, 분할이나 합병, 신규등록, 지목변경등의 경우라면 7월 1일을 기준으로 공시지가가 나옵니다.

 

 

 

이제 공시지가를 확인해보러 가보도록 하죠. 이렇게 네이버등에서 부동산알리미라고 검색을 해보세요. 그러면 이렇게 사이트가 검색이 되어지게 되실건데요. 여기에서 사이트 클릭을 하시면 공시지가 확인을 절차없이 바로 할수가 있게 되어집니다.

 

 

우측 상단에 보시면 개별 공시지가와 표준 공시지가를 조회할수있는 자료가 나옵니다. 일반적으로는 표준보다는 개별공시지가가 더 도움이 되는 자료에요. 세부적인 자료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하거든요. 클릭을 해서 이동을 해보죠.

 

 

그럼 이제 이렇게 공시지가를 확인할수 있는 지역에 대해서 나오네요. 국토해양부 공시지가를 조회할떄 이렇게 지자체별로 다시 공시지가를 확인해보러 들어가야합니다. 표준공시지가의 경우는 해당 사이트에서 바로 볼수가있어요. 여기에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주세요.

 

 

그리고 나면 이제 이렇게 공시지가 조회할수가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되어지실겁니다. 여기에서 상단에 보시면 조회해볼 공시지가 지역을 입력하게 되어져있어요. 지번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 기반 모두 지원하니 편리하게 국토해양부 공시지가를 확인해볼수가 있으실거에요. 필요하신 분들 안내에 따라서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