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부터 적용되는 '기준소득월액'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여러분과 나누려 합니다. 이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산하는 데 기초가 되는 금액으로, 매년 조정됩니다. 올해의 변경 사항이 여러분의 보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정보

 

기준소득월액, 무엇인가요?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쉽게 말해, 여러분의 월 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금액이죠. 기준소득월액의 변화는 직접적으로 국민연금 보험료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여러분의 부담금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기준소득월액은 직장인의 기본급, 수당, 상여금 등 여러 항목을 포함하지만, 실적금이나 비과세 소득 등은 제외됩니다. 계산은 가입자가 신고한 소득월액에서 천 원 미만을 절사하고, 절사된 금액에 보험료율 9%를 곱하여 보험료를 산출합니다.

 

2024년 기준소득월액의 주요 변경 사항

2024년부터는 기준소득월액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상한액과 하한액의 조정

  • 상한액 : 590만원에서 617만원으로 인상
  • 하한액 : 37만원에서 39만원으로 인상
  • 적용 기간 :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이 조정은 최근 3년간 평균소득 변동률(4.5%)을 반영하여, 더 현실적인 소득 수준을 반영하려는 것입니다. 이는 국민연금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물가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변경에 따른 보험료 영향 분석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이 조정됨에 따라 보험료도 변경됩니다. 특히 고소득자의 경우, 개인 부담 연금보험료가 월 12,150원 인상됩니다. 예를 들어, 월 소득이 700만원인 경우, 변경 전에는 기준소득월액 590만원을 기준으로 개인 부담금이 265,500원이었으나, 변경 후에는 277,650원으로 인상됩니다. 회사와 반반씩 부담하므로 실제 증가액은 24,300원이 됩니다.

 

기준소득월액 정기결정 절차

기준소득월액은 매년 5월 말일 소득총액 신고 후, 사업장 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평균소득 월액 변동률을 확인하여 조정됩니다. 이 과정은 변동률에 따라 소득월액을 조정함으로써 연금 제도의 적정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반영된 것입니다.

 

장기적 영향과 기대 효과

2024년 기준소득월액의 조정은 장기적으로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노후 연금액 증가 : 더 많은 보험료를 납부하면 연금액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노후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물가상승 대비 : 소득 수준의 변화를 반영하여 물가상승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3. 연금 제도의 지속가능성 강화 : 적정한 보험료 산정으로 국민연금 제도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이 외에도 국민연금 의 상한액과 하한액 조정은 제도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4년 기준소득월액의 변경은 국민연금 보험료의 상한액과 하한액을 조정하여 국민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과 적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새로운 기준에 따라 여러분의 보험료가 조정되며, 장기적으로는 노후 연금액의 증가와 물가상승 대비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고시 정보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정보

보건복지부

댓글